반복되는 오심 논란 [오래 전 '이날']
- 작성자
- 임은차
- 작성일
- 20-06-29 10:23
- 조회
- 62회
관련링크
본문
>
[경향신문]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2014년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김연아 선수가 연기를 펼치고 있는 모습. 당시 금메달을 딴 러시아의 소트니코바에는 착지 실수로 ‘엉덩방아 챔피언’이라는 오명을 얻었고, 김연아 선수에 대한 (은메달)판정은 국제 사회에서도 논란이 됐다. 연합뉴스
스포츠 경기장의 ‘신’은 심판입니다. 심판 판정이 오심이라 할지라도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면 끝나기 때문입니다. 10년 전 오늘 경향신문은 오심으로 얼룩진 ‘2010 남아공 월드컵’ 소식을 전했습니다. 조별리그에서 16강전까지 오심 논란에 휩싸이지 않은 경기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라며 잘못된 판정이 월드컵의 권위마저 흔들었다고 경향신문은 지적했습니다.
기사는 “독일·잉글랜드, 아르헨티나·멕시코의 16강전에서도 오심 2개가 승부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며 “피해자가 된 잉글랜드와 멕시코 언론이 흥분한 것은 당연했고, 이득을 본 나라들도 잘못된 판정을 인정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득을 본 국가 중 한 곳인 아르헨티나는 현지 보도를 통해 “첫 골은 이탈리아 출신 주심이 준 선물”이라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국가인 독일에서도 전 독일대표팀 감독 프란츠 베켄바워가 “심판은 명백한 골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며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남아공월드컵은 조별리그부터 오심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브라질 루이스 파비아누(세비야)는 코트디부아르전에서 골을 넣기 전 팔로 공을 건드리는‘핸드볼’ 기술을 쓰고도 파울을 받지 않고, 미국 모리스 에두(레인저스)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3-2 결승골을 터뜨렸지만 심판은 파울을 선언했습니다. ‘시뮬레이션 액션’에 속아 선수를 퇴장시키는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2010년 6월29일 경향신문은 오심으로 얼룩진 ‘2010 남아공 월드컵’ 소식을 종합적으로 보도했다. 경향신문 지면.
한국은 주로 오심으로 피해를 보는 쪽이었습니다.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후반 곤살로 이과인(레알 마드리드)에게 허용한 골은 오프사이드였고, 우루과이와의 16강전 후반 기성용이 페널티구역 안에서 상대 반칙으로 넘어져 페널티킥 기회가 있었지만 심판은 몰랐습니다. 당시 오심 발생 이유로는 두 가지가 꼽혔습니다. 월드컵 본선 무대가 첫 경험인 ‘초보 심판’들이 많고, 경기장마다 32개가 설치된 TV 중계 카메라가 여러 각도에서 오심여부를 가려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심 논란은 축구가 아닌 다른 종목에서도 항상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아테네 올림픽 체조경기에서 양태영의 금메달을 빼앗은 채점 오류, 일본 프로야구에서 이승엽의 홈런 무효 사건,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가 착지 실수를 한 소트니코바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건 등 오심 시비는 다반사로 일어났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는 말은 스포츠계의 격언이 된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오심도 오심 나름입니다. 불가항력적인 한계에 따른 오심은 어쩔 수 없지만, 상식이하의 판정이나 고의적 오심(사심)은 스포츠 정신을 훼손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젠 기술 발달로 스포츠 팬들도 심판 못지 않게 똑똑해 지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오심은 줄여야 하고, 특히 역사에 기록된 오심이 또 다시 반복되는 일은 없어야합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 장도리
[경향신문]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2014년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김연아 선수가 연기를 펼치고 있는 모습. 당시 금메달을 딴 러시아의 소트니코바에는 착지 실수로 ‘엉덩방아 챔피언’이라는 오명을 얻었고, 김연아 선수에 대한 (은메달)판정은 국제 사회에서도 논란이 됐다. 연합뉴스
스포츠 경기장의 ‘신’은 심판입니다. 심판 판정이 오심이라 할지라도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면 끝나기 때문입니다. 10년 전 오늘 경향신문은 오심으로 얼룩진 ‘2010 남아공 월드컵’ 소식을 전했습니다. 조별리그에서 16강전까지 오심 논란에 휩싸이지 않은 경기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라며 잘못된 판정이 월드컵의 권위마저 흔들었다고 경향신문은 지적했습니다.
기사는 “독일·잉글랜드, 아르헨티나·멕시코의 16강전에서도 오심 2개가 승부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며 “피해자가 된 잉글랜드와 멕시코 언론이 흥분한 것은 당연했고, 이득을 본 나라들도 잘못된 판정을 인정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득을 본 국가 중 한 곳인 아르헨티나는 현지 보도를 통해 “첫 골은 이탈리아 출신 주심이 준 선물”이라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국가인 독일에서도 전 독일대표팀 감독 프란츠 베켄바워가 “심판은 명백한 골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며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남아공월드컵은 조별리그부터 오심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브라질 루이스 파비아누(세비야)는 코트디부아르전에서 골을 넣기 전 팔로 공을 건드리는‘핸드볼’ 기술을 쓰고도 파울을 받지 않고, 미국 모리스 에두(레인저스)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3-2 결승골을 터뜨렸지만 심판은 파울을 선언했습니다. ‘시뮬레이션 액션’에 속아 선수를 퇴장시키는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2010년 6월29일 경향신문은 오심으로 얼룩진 ‘2010 남아공 월드컵’ 소식을 종합적으로 보도했다. 경향신문 지면.
한국은 주로 오심으로 피해를 보는 쪽이었습니다.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후반 곤살로 이과인(레알 마드리드)에게 허용한 골은 오프사이드였고, 우루과이와의 16강전 후반 기성용이 페널티구역 안에서 상대 반칙으로 넘어져 페널티킥 기회가 있었지만 심판은 몰랐습니다. 당시 오심 발생 이유로는 두 가지가 꼽혔습니다. 월드컵 본선 무대가 첫 경험인 ‘초보 심판’들이 많고, 경기장마다 32개가 설치된 TV 중계 카메라가 여러 각도에서 오심여부를 가려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심 논란은 축구가 아닌 다른 종목에서도 항상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아테네 올림픽 체조경기에서 양태영의 금메달을 빼앗은 채점 오류, 일본 프로야구에서 이승엽의 홈런 무효 사건,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가 착지 실수를 한 소트니코바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사건 등 오심 시비는 다반사로 일어났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는 말은 스포츠계의 격언이 된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오심도 오심 나름입니다. 불가항력적인 한계에 따른 오심은 어쩔 수 없지만, 상식이하의 판정이나 고의적 오심(사심)은 스포츠 정신을 훼손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젠 기술 발달로 스포츠 팬들도 심판 못지 않게 똑똑해 지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오심은 줄여야 하고, 특히 역사에 기록된 오심이 또 다시 반복되는 일은 없어야합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 장도리